본문 바로가기
일상/건강

유방 통증, 단순한 통증일까? 의심해볼 수 있는 질환 총정리

by 노후설계 2025. 5. 1.
반응형

유방 통증은 많은 여성들이 겪는 흔한 증상이지만,
정확한 원인을 알지 못하고 넘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한 생리 주기 변화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의학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질환의 초기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방 통증으로 의심할 수 있는 대표 질환
그에 따른 대처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유방 통증의 원인과 의심 질환을 소개하는 썸네일

유방 통증, 얼마나 흔할까?

유방 통증은 전체 여성의 약 70% 이상이 경험할 정도로 흔한 증상입니다.
주로 생리 전후배란기, 호르몬 변화 시기에 나타나며,
일시적인 불편감으로 끝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반복되거나 강도, 위치가 일정하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유방 통증의 주요 유형

유형설명특징
주기성 유방통 생리 주기와 연관된 통증 양쪽 유방, 묵직하고 뻐근한 느낌
비주기성 유방통 특정 자극, 질환 등에 의한 통증 한쪽 유방, 날카롭거나 쑤시는 통증
방사통 유방 외부에서 시작된 통증 근육통, 신경통 등 원인 다양
 
 

유방 통증으로 의심할 수 있는 질환들

유방통은 단순 생리 증상일 수도 있지만,
다음과 같은 질환이 숨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구분해볼 필요가 있어요.

1. 섬유낭성 변화 (Fibrocystic Changes)

가장 흔한 유방 통증 원인 중 하나로,
유방 내 **낭(물주머니)**이 생기고 조직이 단단해지는 변화를 말합니다.

  • 특징: 생리 전 통증 심해지고, 만지면 울퉁불퉁한 느낌
  • 대처법: 카페인 줄이기, 저지방 식단, 필요 시 초음파 검사

 

2. 유방염 (Mastitis)

주로 수유 중인 여성에게 생기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유두를 통해 세균이 들어가 염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증상: 열감, 붉은기, 압통, 몸살 기운
  • 대처법: 수유 자세 교정, 항생제 복용, 유방 마사지

 

3. 유방낭종 (Breast Cyst)

유선 조직 내 액체가 차 있는 주머니로,
크기가 커지거나 갑자기 변하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증상: 한쪽만 통증, 눌렀을 때 딱딱한 느낌
  • 진단: 유방 초음파
  • 대처법: 대부분 무해하지만 크기 변화 시 추적 관찰 필요

 

4. 유방암 (Breast Cancer)

대부분의 유방암은 초기에는 통증이 거의 없지만,
간혹 통증이 지속적이고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면 검진이 필요합니다.

  • 의심 증상: 피부 함몰, 유두 분비물, 한쪽만 아프고 덩어리 있음
  • 검사법: 유방 초음파, 유방촬영술(맘모그램), 조직검사

중요:

  • 40세 이상은 매년 유방촬영 권장
  • 가족력 있으면 35세부터 정기검진 시작

 

5. 근육통 또는 늑간신경통

유방 근처 흉근이나 갈비뼈 사이 신경이 자극되어
유방 부위에 통증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 특징: 눌렀을 때 더 아프고, 특정 자세에서 악화
  • 대처법: 스트레칭, 진통소염제, 자세 교정

 

유방 통증 자가 체크 리스트

항목체크 (O/X)
통증이 한쪽 유방에만 있음  
생리주기와 무관하게 계속됨  
눌렀을 때 멍든 것처럼 아픔  
피부에 오목한 변화가 있음  
유두에서 비정상 분비물 나옴  
열감이나 붉은기 동반됨  
밤에 누우면 더 아프거나 덩어리 느껴짐  
 

→ 2개 이상 해당된다면 유방 초음파 등 진료 필요합니다.

 

 

병원에 가야 할 때는 언제?

  • 통증이 한쪽에만 집중되어 있고, 2주 이상 지속될 때
  • 덩어리(멍울)가 만져질 때
  • 유두 분비물(혈액성 또는 노란색 등)이 나올 때
  • 피부가 찌그러지거나 오목해지는 변화가 있을 때
  • 가족력(엄마, 이모 등 유방암 경험)이 있을 때

 

유방 통증을 줄이는 생활 습관

  • 카페인 줄이기 (커피, 초콜릿, 탄산음료 등)
  • 스트레칭과 온찜질
  • 가슴을 너무 압박하지 않는 브라 착용
  • 호르몬 균형 위한 충분한 수면과 영양 섭취
  • 자기 전 스마트폰 자제 (멜라토닌 분비 방해)

 

마무리

유방 통증은 흔한 증상이지만,
패턴이 달라지거나 지속적으로 반복된다면 정확한 검진이 필요합니다.
특히 여성의 유방은 생리주기, 호르몬, 외부 자극에 민감하므로
몸의 신호를 무시하지 말고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은 사소한 통증을 놓치지 않는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유방 통증이 걱정된다면, 오늘부터 내 몸을 조금 더 챙겨보세요.

반응형